
안녕하세요 아재버핏입니다.
최근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의 주가가 고점 대비 50% 넘게 하락하면서 관련 ETF인 TSLY(일드맥스 테슬라 옵션 인컴 전략 ETF)에 대한 관심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저는 월배당 ETF라는 매력에 이끌려 TSLY에 투자했고,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총 4차례 배당을 받았다. 오늘은 TSLY 투자 내역과 배당금 수령 현황, 현재까지의 수익률을 정리하며 그 결과를 공유해보려 합니다.
TSLY 투자 개요
TSLY는 테슬라 주식에 커버드콜 옵션 전략을 활용하여 고배당을 추구하는 ETF로, 월 단위 배당을 지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저는 2024년 12월부터 총 4회에 걸쳐 TSLY에 투자하고 배당을 수령했다.
보유 수량: 198주
평단가: 21,133원
총 투자금: 4,184,368원
현재 평가금액: 2,342,112원
총 손익: -1,842,256원 (-44.03%)
4차례 배당 내역
총 배당금: 569,345원
평균 배당금 감소율: 매달 약 -20% 하락
월배당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배당금이 매달 점점 줄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1월까지만 해도 0.72달러를 지급했던 배당금이 3월에는 0.46달러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테슬라 주가 하락과 옵션 프리미엄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테슬라 주가 하락의 영향
테슬라 주가는 최근 8주 연속 하락하며 53.71% 떨어져 $222.1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유럽과 중국에서의 판매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독일에선 신차 등록이 70% 급감했고 상하이 공장 출하량도 49% 감소했다. 이는 TSLY의 주가와 배당 성과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하반기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테슬라의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TSLY는 월배당이라는 매력적인 구조를 갖춘 ETF이지만, 테슬라 주가의 변동성과 옵션 전략의 한계로 인해 자본손실 가능성이 크다. 필자의 경우 배당금으로 약 57만 원을 수령했지만, 평가손실은 184만 원에 달한다.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테슬라의 장기 성장 가능성을 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변동성에 민감한 투자자라면 분산투자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 저는 추가 하락 시 TSLY 추가매수보다는 TSLL 물타기를 고려중입니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LL 투자 후기: -40% 손실, 레버리지 ETF의 무서움 (0) | 2025.04.06 |
---|---|
[TSLL 투자기]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 4개월 실전 후기와 수익률 정리 (1) | 2025.03.23 |
2025년 나스닥 지수와 기술주(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주가 흐름 분석 (1) | 2025.03.15 |
테슬라 2배 레버리지(TSLL) 투자결과 그리고 미국 환율 (0) | 2025.03.15 |
MSTY ETF 3월 배당금 감소 & 주가 하락, 투자 전략 점검이 필요할 때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