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테슬라 2배 레버리지(TSLL) 투자결과 그리고 미국 환율



안녕하세요 아재버핏입니다.

최근 미국 주식 시장이 흔들리면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새롭게 투자하려는 분들에게는 좋은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TSLL)처럼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은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서 적절한 진입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실제 제가 투자한 TSLL 80주 투자 상황을 분석하면서, 레버리지 ETF의 리스크, 미국 환율(USD/KRW)의 영향, 그리고 투자 전략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TSLL(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란?


TSLL은 테슬라(Tesla) 주가의 2배 변동성을 반영하는 ETF입니다. 즉, 테슬라 주가가 오르면 TSLL은 2배로 상승하지만, 반대로 하락할 경우 손실도 2배로 커집니다.

특히, 미국 환율(USD/KRW)의 변화도 TSLL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됩니다. 환율 상승 시 원화 기준 손실이 줄어들 수도 있지만,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손실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TSLL 80주 보유자의 투자 기록 분석


저는 TSLL을 꾸준히 매수해왔으며, 최근 매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80주를 매수했으며, 평균 매수 단가는 21.99달러입니다.

● 현재 손실 상황

현재 TSLL 주가는 9.23달러로, 평균 매수가보다 약 58%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총 손실금액은 -1,021.57달러에 달합니다.



TSLL 투자 시 미국 환율이 중요한 이유


TSLL과 같은 미국 주식 ETF에 투자할 때, 환율(USD/KRW) 변동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미국 환율이 상승하면?

TSLL 매도 시 환차익 효과가 발생하여 원화 기준 손실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추가 매수할 경우 환율 상승으로 인해 더 높은 가격에 매수하게 됩니다.


✔ 미국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 환산 기준으로 TSLL 매도 시 손실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추가 매수 시에는 더 낮은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금리 변동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환율이 크게 요동치고 있으므로
TSLL 투자자는 반드시 환율 흐름을 확인해야 합니다.




TSLL 투자자의 고민: 물타기는 정답일까?


저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꾸준히 추가 매수(물타기)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평균 단가는 크게 낮아지지 않았고, 손실률은 여전히 -50% 이상입니다.

● 물타기의 문제점

1. 하락장 추가 매수해도 반등이 없다면 손실 증가

2. 레버리지 ETF는 장기적 손실이 누적 구조

3. 미국 환율이 하락시 원화 기준 손실 더 증가

따라서 단순한 물타기가 아니라 테슬라 주가 흐름과 환율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과거 TSLL 폭락 사례와 교훈


TSLL은 테슬라 주가의 2배 변동성을 가지므로 급등과 급락이 반복됩니다.
특히 2022년~2023년 폭락장에서는 TSLL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 2022년~2023년 TSLL 폭락 사례

TSLL은 2022년 8월 상장 후, 테슬라 주가 폭락과 함께 90% 이상 하락한 적이 있습니다.

2022년 말~2023년 초, **테슬라 주가가 400달러 → 100달러(-75%)**로 급락하면서
TSLL은 거의 99%에 가까운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레버리지 ETF는 하락장에서 손실이 가속화되며, 복구가 어려운 구조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 2023년 반등의 기회

테슬라가 200달러 이상으로 반등하면서 TSLL도 상승했지만,
기존 투자자들이 본전을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상승폭이었습니다.


이처럼 레버리지 ETF는 빠르게 반등할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TSLL 투자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전략


✔️ 배워야 할 교훈

1. 레버리지 ETF는 장기 보유 시 손실이 누적될 가능성이 크다.


2. 단순한 물타기보다 미국 환율 흐름과 테슬라 주가 변동성을 함께 분석해야 한다.


3. 미국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 기준 손실이 완화될 수 있지만, TSLL 자체가 계속 하락하면 환율 효과도 무의미하다.


4. 과거 TSLL의 극한 폭락 사례를 기억하라. 테슬라 주가가 2배 오른다고 TSLL이 반드시 2배 오르는 것이 아니다.


5. 단기 반등 시 일부 익절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TSLL 투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TSLL과 같은 2배 레버리지 ETF는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한 상품이며, 장기 투자로 가져가기에는 리스크가 큽니다.

특히 미국 환율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원화 기준 손실이 예상보다 훨씬 클 수 있습니다.

TSLL 투자자는 미국 환율과 테슬라 주가 변동성을 함께 분석하며, 전략적인 매매를 해야 합니다.
단순한 물타기보다는 손절과 익절 전략을 병행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레버리지 ETF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투자 전에 철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